본문 바로가기
건강

건강한 삶, 배우 김정화 남편 은유성 투병 뇌암, 원인, 의심증상, 예방

by 현민생각 2023. 6. 9.
반응형

김정화은유성

배우 김정화는 1983년 9월 생으로 올해 41살이며, 배우자 유은성은 1977년 1월 생으로 현재 47살로 2013년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2일 있습니다. 최근 방송된 SBS "동상이몽"에서 배우 김정화의 남편이 뇌암 판정으로 투병생활을 하고 있는 남편 유은성에 대해서 애틋한 감정을 보여 주었습니다.

반응형

남편 유은성 씨가 단순 두통으로 검진센터를 찾았지만, 검사 결과 뇌암으로 밝혀졌고, 김정화의 모친 또한 11년 전에 암투병을 했었다는 사연까지 전해져 더욱 안타까움을 자아냈습니다. 

김정화와 어머니 투병사진

동상이몽에서 남편 유오성씨는 직업을 5개나(교수, 방송인, 카페 CEO, 싱어송라이터, 공연기획자 )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정말 대단하신 분이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저작권, 교수 수익, 카페수익 등 많은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는 사실에 대해 더욱 놀랐습니다.

은유성씨 사진

김정화씨 또한 4년간이나 엄마의 암투병을 간호하고, 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아그네스 양에게 14년간 후원했던 사실도 같이 알게 되었는데, 남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많은 선행을 베풀고 살아가는 모습이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런 따뜻한 마음을 가진 김정화 씨를 옆에서 정시적으로 육체적으로 든든하게 지켜주고 이었던 남편 유은성 씨의 뇌암의 소식은 다시 생각해도 정말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남편분의 완쾌를 기원하겠습니다. 

뇌암 소개

뇌종양 또는 악성 뇌종양으로도 알려진 뇌암은 뇌에서 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뜻합니다. 복잡하고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뇌암 원인

  - 유전적 요인 : 신경섬유종증, 폰 히펠-린다우병, 리프라우메니 증후군과 같은 특정 유전적 조건은 뇌종양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방사선 노출 : 다른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와 같은 고용량 방사선에 대한 이전의 노출은 뇌종양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연령 : 특정 유형의 뇌종양은 특정 연령 그룹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골수종은 어린이들에게 더 흔하지만, 교모종은 어른들에게 더 자주 보입니다.

 

  - 환경 요인: 뇌종양의 발달에 있어서 특정 화학물질이나 전자기장에 대한 노출과 같은 환경적 요인의 잠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뇌암  의심증상(이런 증상은 꼭 의심해 봐야 합니다.)

  - 뇌암의 초기 증상 : 두통: 메스꺼움과 구토를 동반하는 지속적이거나 악화되는 두통은 뇌암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 발작: 설명할 수 없는 발작이나 발작 패턴의 변화는 뇌종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인지 및 행동 변화: 기억력 문제, 혼란, 성격 변화, 과민성, 그리고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뇌암의 초기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운동 기능 장애 : 이유없는 무기력감, 무감각 또는 조정과 균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각 또는 청각 변화 : 흐릿한 시야나 이중 시야와 같은 시각 장애와 청력 문제는 뇌종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언어 장애 : 어눌한 음성 또는 음성 패턴의 변화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피로: 설명할 수 없고 지속적인 피로, 허약 또는 에너지 부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기타 증상: 추가적인 증상에는 식욕이나 체중의 변화, 삼키기 어려움, 기분이나 성격의 변화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심각한 뇌암은 수술을 해도 90%는 장애가 있을 수 있고, 50% 정도는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질병입니다. 

 

뇌암 예방

  - 뇌암 예방법 : 방사선 노출 최소화: 방사선에 불필요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안전 조치를 따르셔야 합니다. 

  - 유해 화학물질로부터 보호 :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학물질을 취급하거나 작업할 때는 안전 지침 및 보호 조치를 따르셔야 합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